2021/02/21 - [똥 싸기/네트워크 이론] -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기본 개념과 사용 이유
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기본 개념과 사용 이유
STP(Spanning Tree Protocol) : 스위치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루핑을 방지해주는 프로토콜. (IP패킷의 경우 헤더에 TTL(Time To Live) 필드가 있어 패킷의 무한루프를 막아준다.) 프레임 루핑의 영향 3가지 1. 브
kujung.tistory.com
2021/02/21 - [똥 싸기/네트워크 이론] - 예제로 보는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동작 방식
예제로 보는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동작 방식
2021/02/21 - [똥 싸기/네트워크 이론] -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기본 개념과 사용 이유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기본 개념과 사용 이유 STP(Spanning Tree Protocol) : 스위치에서 이더넷 프레임의
kujung.tistory.com
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 동작 방식에 대해 알아봤다. 간단한 문제로 개념을 다져보자 !!
위 구성에서 루트 스위치는 무엇인가?
SW1(BID가 가장 낮기 때문)
위 구성에서 루트 포트는 무엇인가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7Uhr/btqX0qgGb87/hJ0FUJQoTJxxtg4RCkFee0/img.png)
루트 스위치가 선택되면, 나머지 모든 스위치에서는 루트 스위치로 제일 빨리 갈 수 있는 경로를 루트 포트로 하나씩 선택한다.
SW4의 경우, 100Mbps의 경로로 가게되면, 경로값이 19,
SW2를 거치는 경로로 가게 되면 경로값이 4+4= 8.
루트 포트는 경로값이 더 작은 SW2를 향한 포트가 선택된다.
속도(bandwidth) | 경로값(path cost) |
10Mbps(이더넷) | 100 |
100Mbps(패스트 이더넷) | 19 |
1Gbps(기가비트 이더넷) | 4 |
10Gbps(10 기가 이더넷) | 2 |
위 구성에서 지정 포트는 무엇인가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T8Mt/btqYbItuOxl/zF3ids9awZ2IlJpNNpzuT0/img.png)
지정 포트는 한 세그먼트당 하나를 무조건 선택해야 한다.
루트 스위치의 모든 포트는 지정 포트이다. 때문에 루트 스위치와 연결된 세그먼트의 지정 포트는 루트 스위치가 가져간다.
SW2와 SW3간의 세그먼트에서는, 경로값이 같으나 SW2의 BID가 더 낮으므로 SW2의 포트가 지정 포트가 된다.
위 구성에서 대체 포트는 무엇인가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xg1H/btqXYoRwjuX/Jh5CFBXkdTFSLyZM07lXFK/img.png)
루트 포트도 지정포트도 아닌 포트를 대체 포트라고 한다.
위 구성에서 STP 구성을 그리세요.
'똥 싸기 > 네트워크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 포트의 5가지 상태 변화 (1) | 2021.02.23 |
---|---|
예제로 보는 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동작 방식 (0) | 2021.02.21 |
STP(스패닝 트리 프로토콜)의 기본 개념과 사용 이유 (0) | 2021.02.21 |
간단한 VLAN 문제 (0) | 2021.02.20 |
예시로 보는 트렁크 포트와 액세스 포트 (0) | 2021.02.19 |